신혼부부/임산부관리
대상
평택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신혼부부 및 임산부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분 | 대상 및 내용 | 비고 |
---|---|---|
신혼부부 |
|
|
|
||
임산부 등록관리 |
|
|
|
||
|
||
|
||
|
||
직장인을 위한 "임산부의 날" 운영 |
|
|
|
||
|
||
모유수유클리닉 운영(전문상담가 지도) |
|
|
|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청소년산모 대상으로 임신·출산에 소요되는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여 적정 산전관리를 받도록 함으로써, 잉태된 소중한 생명을 보호하고 산모와 태아의 건강증진 도모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원 | 내용 |
---|---|
지원대상 | 만 18세 이하 모든 청소년산모[소득기준 없음] |
지원내용 | 산전검사 및 출산에 소요되는 의료비 중 본인부담금 |
지원금액 | 1인당 120만원 이내 |
지원기간 | 카드 수령일로부터 분만예정일 이후 1년까지 |
신청방법
- 요양기관(산부인과)에서“임신확인서”발급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http://www.socialservice.or.kr/)
- 전용카드 수령 후 임산부 본인 서명
- “전용카드”에 사용기관으로 등록된 요양기관(전국산부인과)에서 사용
고위험임산부의료지원
지원목적
고위험 임신질환의 적정 치료·관리에 필요한 진료비를 지원하여 경제적 부담 경감을 통한 건강한 출산과 모자건강을 보장
지원대상
- 소득기준 전국가구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
- 질환기준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 받은 자
※ 분만결과, 자궁 내 태아사망 등으로 사산한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
지원기준
- 2019년 가족원수, 가입유형별 소득판별 기준표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구원수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기준중위소득 180%) |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169,191원 | 174,163원 | 171,897원 |
3인 | 222,133원 | 239,780원 | 226,441원 |
4인 | 272,807원 | 297,628원 | 283,533원 |
5인 | 326,151원 | 355,813원 | 348,036원 |
6인 | 378,988원 | 413,866원 | 410,509원 |
7인 | 442,043원 | 483,381원 | 487,738원 |
※ 신청일 기준 직전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고지금액으로 산정, 맞벌이부부는 건강보험료가 낮은 배우자의 보험료를 50%만 합산
※ 분만일자 기준으로 가족수 산정(해당 출생아 및 사산아 포함)
신청기간
분만일자 기준으로 6개월이내 신청
신청기관
- 평택보건소 모자건강지원팀 ☎ 031-8024-4357
- 송탄보건소 모자건강지원팀 ☎ 031-8024-7246
- 안중보건소 민원진료팀 ☎ 031-8024-8641
질환별 지원기준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질환명 | 질환코드 | 한글명 | 지원기간 |
---|---|---|---|
1.조기진통 | O60 | 조기 진통 및 분만 | 질병 관련 입원 치료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37주 미만) |
2.분만관련 출혈 | O67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분만중 출혈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
O72 | 분만후 출혈 | ||
3.중증 임신중독증 | O11 | 만성 고혈압에 겹친 전자간 | |
O14 | 전자간 | ||
O15 | 자간 | ||
4.양막의 조기파열 | O42 | 양막의 조기파열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37주 미만) |
5.태반조기박리 | O45 | 태반의 조기분리 [태반조기박리]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임신주수 20주 이상) |
6.전치태반 | O44 | 전치태반 | |
O69.4 | 전치맥관이 합병된 진통 및 분만 / 전치맥관으로부터의 출혈 |
||
7.절박 유산 | O20.0 | 절박유산 | |
8.양수과다증 | O40 | 양수과다증 | |
9.양수과소증 | O41.0 | 양수과소증 | |
10.분만전 출혈 | O46 | 분만전 출혈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
11.자궁경부무력증 | O34.3 | 자궁경부전에 대한 산모관리 | |
12.고혈압 | O10 |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전에 있던 고혈압 |
질병 관련 입원 치료 기간 |
O13 | 임신[임신-유발]고혈압 | ||
O16 | 상세불명의 산모고혈압 | ||
13.다태임신 | O30 | 다태임신 | |
O31 | 다태임신에 특이한 합병증 | ||
14.당뇨병 | O24 | 임신중 당뇨병 | |
15.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
O21.1 |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 |
16.신질환 | N00-N23** | N00-N08(사구체질환) N10-N16(신세뇨관-간질질환) N17-N19(신부전) N20-N23(요로결석증) |
|
17.심부전 | I00-I52** | I00-I02(급성 류마티스열) I05-I09(만성 류마티스심장질환) I10-I15(고혈압성질환) I20-I25(허혈심장질환) I26-I28(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의 질환) I30-I52(기타 형태의 심장병) |
|
18.자궁내 성장제한 | 036.5 | 태아성장불량에 대한 산모관리 | |
19.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질환 |
023.5 | 임신중 생식관의 감염 | |
034.0 | 자궁의 선천기형에 대한 산모관리 | ||
034.1 | 자궁체부종양에 대한 산모관리 | ||
034.4 | 자궁경부의 기타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 ||
034.8 | 골반기관의 기타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 ||
041.1 | 양막낭 및 양막의 감염 | ||
지원내용 | 급여의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진료비 (진찰료, 투약조제료, 주사료, 처치 및 수술료, 검사료, 혈액성분제제료 등) ※ 상급병실료 차액 및 환자 특식 제외 |
||
지원규모 | 지원대상 의료비의 90% 범위 내에서 지원(1인당 300만원 한도) |
※ 신질환 및 심부전의 경우 해당 질환코드외 O코드(임신, 출산 및 산후기)가 진단서 상 동시 기재되어 있어야 함
구비서류 및 신청서
- 의사진단서 1부 (질병명 및 질병코드, 최초진단일 반드시 기재)
- 입퇴원 진료확인서 (입원횟수별 각각 제출)
- 진료비 영수증 원본 (지원가능 기간 내 내역만 제출)
- 진료비 세부내역서
- 출생증명서 (사산의 경우 사산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1부
- 건강보험증 사본 1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납부고지서(맞벌이 부부의 경우 , 부부 모두 첨부)
-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1부
- 지원대상자 신분증 사본 1부 (대리신청 시 대리인 신분증 사본 1부 추가)
- 통장사본 1부 (반드시 산모 명의의 통장)
- 의료비 지원신청서 1부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지원대상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분 | 자격 |
---|---|
기초생활보장 | 기초생계급여, 기초의료급여, 기초주거급여, 기초교육급여 |
차상위 | 차상위본임부담경감대상자, 차상위자활, 차상위장애인, 차상위계층 확인 |
한부모가족 | 모자가족, 부자가족, 청소년한부모모자, 청소년한부모부자 |
※ ‘행복e음’상 확인되는 자격 보유 시
분유지원 신청가능 산모의 질환(질병코드)
- 에이즈(B20, B21, B22, B23, B24, O98.7, Z21, Z20.6)
- HTLV감염(C91.5, Z22.6)
- 마약 및 정신이상약에 의한 중독(T40)
- 악성신생물(C50, 유방암 제외)
- 항암화학요법 중인 경우만 모유수유 금지, 동 내용이 의사진단서에 기재된 경우만 지원
- 희귀질환자로서 면역억제제 투여로 모유수유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 유방의 악성신생물(C50.9)
- 항암화학요법을 포함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모유수유 금지, 동 내용이 의사진단서에 기재된 경우만 지원
- 방사선 치료(Z51.0)
- 항암제 치료(Z51.1)
- 뇌하수체의 기능저하증(E23)
- 중증 산후기 정신장애(F00~F99)로 수유가 불가능하다고 의사가 판단하는 경우
- 산모의 의식불명, 뇌출혈 등으로 인한 의식기능의 현저한 저하
- 장기간(1개월 이상) 입원치료, 상반신 마비
신청시 구비서류
- 저소득층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신청서
- 자격확인서류(예 : 수급자 증명서 등)
지원신청기간
- 지원 대상 영아의 출생일로부터 24개월 전날까지 신청가능
- 출생일로부터 60일까지는 신청일과 관계없이 24개월분 지원
- 60일 초과할 경우 24개월까지 남은 기간에 한해 월 단위로 지원
문의
- 평택보건소 모자건강지원팀 : 031-8024-4357
- 송탄보건소 모자건강지원팀 : 031-8024-7246
- 안중보건지소 민원진료팀 : 031-8024-8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