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형 복지모델 구축 Construction of Pyeongtaek-type Welfare Model
- 지속적인 저출산 고령화 현상과 지역사회 복지환경 변화에 따라 평택시 맞춤형 복지모델 구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에 지역사회통합돌봄(커뮤니티케어) 연구 진행과 복지욕구조사에 기반한 지역복지 연구수행 및 커뮤니티케어 평택형 모델 개발, 인큐베이팅 사업 등을 시행하기 위한 연구와 사업을 지속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도 6개 분야 연구사업 계획 수립
2022년 6개 연구 분야는 커뮤니티케어, 노인의 생활변화, e-welfare, 사이버중독, 5기 지역사회보장계획수립, 경계선 지능 청소년으로 계획을 수립하여 평택시민을 위한 연구 진행 예정
복지 욕구조사에 기반한 지역복지 연구수행
평택시민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파악하여 지역특성을 반영한 사회복지 조사 및 연구수행을 통해 평택시 복지환경의 변화와 발전 도모
커뮤니티케어 평택형 모델 개발 및 실시(2021-2025)
중앙정부의 커뮤니티 케어 정책에 발맞추어, 평택형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연구 및 시범사업을 진행하고자 함. 모델개발 연구 및 시범사업을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시행예정.
WHO 고령친화도시 연구 및 사업 지원
세계적인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따라 WHO 고령친화도시 정책이 활발히 진행 됨에 따라 이에 발맞추어 평택시의 고령친화도시 수립을 위한 연구 및 사업을 지원.
평택복지 스칼라스(Scholars)
평택시 관·내외 복지관련 교수진과 전문가를 스칼라스 위원으로 위촉하여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평택복지재단의 연구협력 체계를 확립
평택복지 콜로키움(colloquium)
급변하는 사회복지 환경에 대응하고 관내 복지 이슈를 선도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콜로키움 개최
찾아가는 연구보고회 등을 통한 연구 홍보 확산
평택복지재단의 연구가 평택시 복지정책과 사회복지현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기관에 방문하여 재단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공유. 이를 통해 재단 수행 연구가 조례제정, 사회복지 정책, 시설의 사업계획과 외부 공모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